반응형
노션 페이지가 하나둘 늘어나면서 생기는 고민,
“이 많은 페이지를 어떻게 연결하지?”
“Wiki처럼 딱딱 연결되는 구조를 만들 수 없을까?”
이번 글에서는 노션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페이지 간 연결 방법과
내비게이션 구성 노하우를 알려드릴게요.
지금부터 연결의 기술을 배워, 나만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만들어봐요!
목차
- 인라인 vs 링크드 페이지, 뭐가 다를까?
- 백링크로 페이지 간 관계 자동 추적하기
- Wiki처럼 연결되는 내비게이션 구조 만들기
- 즐겨찾기 & 사이드바 정리 꿀팁
- 요약 & 다음 글 예고
- 노루의 한마디


인라인 vs 링크드 페이지, 뭐가 다를까?
✅ 인라인 페이지
- 한 페이지 안에 다른 페이지를 삽입하는 방식
- 블록 안에서 바로 내용 작성 가능
- 예: 위클리 플래너 페이지 안에 ‘회의 기록’ 인라인 페이지 삽입
✅ 링크드 페이지
- 기존 페이지를 링크 형태로 연결하는 방식
- 원본과 내용은 같고 위치만 다르게 보여줌
- 예: ‘나의 루틴’ 대시보드에 기존 ‘운동일지’ 페이지 링크 추가
👉 언제 어떤 걸 쓸까?
- 인라인: 한 페이지 안에서 여러 콘텐츠를 함께 보며 관리하고 싶을 때
- 링크드: 이미 있는 페이지를 다른 곳에서도 활용하고 싶을 때
백링크로 페이지 간 관계 자동 추적하기
노션의 숨은 보물 같은 기능이 바로 백링크(Backlink)에요.
- 어떤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를 링크하면,
그 페이지 하단에 “어디에서 링크되었는지” 자동으로 보여줘요. - 예: ‘운동일지’에서 ‘건강 목표’ 페이지를 링크하면 → ‘건강 목표’ 페이지 하단에 연결 표시
🔍 활용법
- 관련 있는 페이지들을 하나로 묶고 추적
- 협업 시, 팀원들이 어디서 어떤 문서를 언급했는지 파악 가능

Wiki처럼 연결되는 네비게이션 구조 만들기
Wiki 스타일의 구조란, 서로 연결된 다수의 정보 페이지를 일관성 있게 엮는 것을 말해요.
📚 구성 예시
- 상위 페이지: ‘팀 위키’
- 하위 인라인: 팀 소개, 조직도, 업무 프로세스
- 링크드 페이지: 회의록 모음, 프로젝트 리스트, 툴 가이드
🔧 팁
- 상단에 목차 또는 내부 링크 버튼을 만들어 빠른 이동 가능하게 구성
- 아이콘이나 컬러 블록으로 구분 영역을 시각적으로 나눠주기

즐겨찾기 & 사이드바 정리 꿀팁
페이지 연결만 잘해도 정리되지만, 사이드바를 깔끔하게 구성하면 작업 효율이 훨씬 올라가요.
⭐ 즐겨찾기
- 자주 쓰는 페이지는 북마크처럼 ‘즐겨찾기’ 등록 가능
- 좌측 최상단에 고정되어 빠르게 접근 가능
📁 사이드바 폴더 구조
- ‘프로젝트’, ‘개인’, ‘데이터베이스’ 등 카테고리별로 나누기
- 페이지명 앞에 📌, ✅, 📚 같은 이모지로 가독성 상승


요약 & 다음 글 예고
이번 글에서는 노션 페이지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다뤘어요.
- 인라인 & 링크드 페이지의 차이점
- 백링크로 자동 추적되는 연결
- Wiki 스타일의 구조 설계
- 사이드바와 즐겨찾기 정리 팁까지!


다음 글에서는 노션 공유 및 협업 기능을 살펴보면서,
팀원과 함께 사용하는 노션의 세계로 한 발 더 들어가볼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