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MAKE.COM 자동화 시나리오 만들다가 이런 고민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특정 조건일 때만 시나리오가 실행되게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지?", "필요한 데이터만 걸러서 다음 액션으로 넘기고 싶은데 뭘 써야 하지?"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게 조건부 로직(Condition)과 필터(Filter) 기능이에요!
초보자 분들에겐 다소 낯설 수 있지만, 이 기능들을 잘 익혀두면 정말 깔끔하고 똑똑한 자동화를 만들 수 있어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MAKE.COM에서 조건부 로직과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아주 쉽게! 하나하나 알려드릴게요.
커피 한 잔 준비하시고, 편하게 따라와 주세요 ☕😉
📋 목차
MAKE.COM에서 조건부 로직이란? 🤔
MAKE.COM에서 조건부 로직은 시나리오 흐름 중 특정 조건에 따라 다음 모듈이 실행될지 여부를 결정하는 논리에요.
예를 들어, 이메일을 받아오는 시나리오에서 제목에 "긴급"이 포함되어 있을 때만 슬랙으로 알림을 보내고 싶다면, 그게 바로 조건부 로직을 적용할 상황이죠.
덕분에 MAKE.COM의 시나리오는 훨씬 더 정교하고 목적에 맞는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어요.
조건(Condition) 사용 방법 🧱
조건을 적용하려면 MAKE.COM에서 “Router” 또는 “Flow Control” 모듈을 사용해야 해요.
Router를 이용하면 다양한 분기점을 만들 수 있고, 각 분기에는 조건을 걸 수 있어요.
// 예시: 이메일 제목에 '긴급' 포함 여부 조건
{{contains(1.subject; "긴급")}}
위 예시는 1번 모듈(이메일)의 제목이 "긴급"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지를 검사하는 조건이에요.
조건식은 MAKE.COM의 자체 함수나 연산자를 활용할 수 있어요. contains, equals, greaterThan 등 다양하게 준비돼 있어요!
필터(Filter)란 무엇인가요? 🔍
필터는 두 모듈 사이의 경로에 적용되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다음 단계로 넘기도록 제한하는 기능이에요.
Router보다 간단하게 단일 조건으로 흐름을 제어하고 싶을 때 아주 유용하죠.
필터 예시 | 설명 |
---|---|
{{greaterThan(1.amount; 100000)}} | 1번 모듈의 금액이 10만원 초과일 경우만 통과 |
{{equals(1.status; "완료")}} | 상태값이 '완료'인 경우만 실행 |
필터를 잘 활용하면, 불필요한 작업을 줄이고, 시스템의 효율도 높일 수 있어요!
실전 필터 활용 예시 💡
자, 이제 실제로 MAKE.COM에서 필터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간단한 예시를 볼까요?
- 고객 불만 메일만 슬랙으로 알림 보내기 Gmail 모듈에서 제목에 "불만"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경우에만 필터를 걸어, 슬랙 모듈로 연결
- 결제 금액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만 Google Sheet에 저장결제 모듈에서 금액이 50000원 이상일 경우에만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필터 설정
이렇게 다양한 상황에서 필터는 데이터 흐름을 깔끔하게 정리해 주는 똑똑한 도구가 되어줘요!
조건 + 필터 조합하기 🧠
필터는 간단한 조건 1개에 좋고, 복잡한 조건 로직은 Router와 Condition 조합이 좋아요.
두 가지를 함께 쓰면 이런 활용도 가능해요:
💎 예시:
특정 고객의 결제 정보 중 "카드 결제" + "10만 원 이상"일 경우에만 CRM 등록
👉 이럴 땐 Router로 결제 방식 조건 걸고, 이어지는 라인에 필터로 금액 조건을 추가!
자주 하는 실수 & 예방법 ⚠️
처음 필터나 조건부 로직을 쓸 때 자주 하는 실수들, 꼭 짚고 넘어가야겠죠? 아래 내용을 꼭 확인해 주세요!
실수 | 예방법 |
---|---|
필드명 오타 | 모듈 실행 후 필드명을 꼭 복사해서 사용하세요 |
필터 조건 누락 | "AND", "OR" 사용 시 괄호로 조건을 확실히 묶어주세요 |
필터가 모든 데이터를 막아버림 | 초기 테스트 시엔 조건을 넉넉하게 잡고 점차 좁혀가세요 |
실수 하나로 시나리오가 멈춰버리는 경우도 있으니, 꼼꼼하게 조건 확인은 필수!에요 😊
자주 묻는 질문 ❓
Q1. 조건부 로직과 필터는 무엇이 다른가요?
조건부 로직은 주로 'Router'를 통해 흐름 자체를 분기시키는 것이고, 필터는 모듈 간 연결선에 조건을 걸어 '데이터만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Q2. 필터 조건은 몇 개까지 추가할 수 있나요?
필터에는 복수 조건을 사용할 수 있으며, 'AND', 'OR' 조합으로 논리 구성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Q3. 필터와 조건을 함께 써도 되나요?
네! 보통 조건부 로직으로 큰 분기점을 만든 뒤, 각 경로에 세부 조건은 필터로 적용하면 훨씬 유연하고 정교한 자동화가 가능해요.
Q4. 조건 수식이 자꾸 오류가 나요. 왜 그럴까요?
대부분 필드명 오타, 괄호 불일치, 혹은 문자열 값을 따옴표로 묶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수식 작성 후 반드시 'Validate' 버튼으로 확인해 보세요!
Q5. 숫자 비교는 어떻게 하나요?
greaterThan, lessThan, equals 등의 함수로 가능해요. 예: {{greaterThan(1.amount; 10000)}}
Q6. 조건/필터가 너무 많아져서 헷갈려요!
조건은 설명 주석을 붙이거나, 명확하게 이름을 지정한 'Label'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또한 복잡한 로직은 간단한 루틴으로 나누는 것도 꿀팁입니다 😊
오늘은 MAKE.COM에서 조건부 로직과 필터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봤어요.
조금 생소할 수 있는 개념이지만, 이렇게 한 단계씩 차근차근 익히다 보면,
여러분도 얼마든지 복잡한 자동화 시나리오를 멋지게 완성할 수 있을 거예요!
"어떻게 해야 더 효율적일까?", "이 조건은 어떻게 걸어야 할까?" 고민될 때마다,
오늘 포스팅 내용을 꼭 다시 한번 떠올려 보세요 😊
혹시 중간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거나, 실제로 해보다 막히는 부분이 생기면 댓글로 편하게 질문 주세요!
여러분의 자동화를 언제나 응원합니다. 함께 성장해 봐요! 💪